physiotherapist(4)
-
어깨 재활 초기 단계에서 효과적인 운동들
이 논문은 어깨 재활 초기 단계에서 견갑골을 조절하기 위한 특정 운동이 근육에 미치는 영향을 근전도로 분석한 연구입니다. 근전도 분석은 근육이 활동할 때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연구 방법총 대상자 39명 (18명 / 21명)신경계 질환이 있거나 이전에 어깨 수술을 받은 경우, 이 연구에서 제외되었습니다.1. 어깨 통증이 없는 그룹 (18명)- 남성 9명, 여성 9명- 어깨 통증이 없고, 과거에 어깨 부상을 입은 적이 없으며, 검사 결과 견갑골 운동 이상(scapular dyskinesis) 이 발견되지 않은 참가자들로 구성되었습니다.2. 어깨 통증이 있는 그룹 (21명)- 남성 13명, 여성 8명- 어깨 통증이 있으며, 충돌 증후군(impingement), 관절와순 손상(labra..
2024.07.22 -
물리치료사들이 근거 기반 실무를 해야 하는 이유와 편향 이해
더욱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연구와 임상 사이의 연결을 더욱 강화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의료 전문가들은 연구 결과를 더 깊이 이해하고, 그 결과를 실제 임상 현장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임상 연구의 한계와 편향을 이해하는 것은 의료 전문가들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이를 통해 그들은 연구 결과를 더 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신의 편향과 오류를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려는 노력은 연구 결과를 실제 임상 현장에 더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물리 치료사들에게는 이러한 과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이를 통해 그들은 과학에 기반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물리치료를 과학적 직업으로서의 위치를 확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확인 편향을..
2024.02.14 -
극상근 병변 진단의 함정 Empty can test와 Full can test의 한계
Empty can test와 Full can test는 극상근(Supraspinatus) 병변을 확인하기 위한 일반적인 임상 테스트입니다. 하지만, 이 테스트들이 극상근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더구나, 이 테스트들은 다른 근육들도 함께 활성화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극상근 병변의 정확한 판별에 어려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극상근 병변을 진단하는데 이 두 테스트를 완전히 신뢰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이번에 같이 볼 연구 또한 근전도검사(Electromyography, EMG) 연구를 통해 이 두 테스트를 수행하는 동안 어깨 근육이 어떻게 활성화되는지를 살펴보고, 이 테스트들이 극상근 병변을 진단하는 데 얼마나 유효한지를 파악하기..
2024.02.13 -
통증 이해하기: 유형, 특성, 과민성
우리 대부분은 급성 통증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다. 급성 통증이란, 몸의 어떤 부분이 다치거나 과도하게 사용되어 통증이 생기는 상황을 말합니다. 다친 부분이 회복되면 통증도 사라지고, 상황은 다시 정상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통증이 이처럼 단순하지만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통증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통증의 주요 세 가지 요소인 통증의 유형, 특성 그리고 과민성에 대해 깊이 알아보려 합니다. 이 세 가지 구성요소는 자신의 통증 경험에 어떤 요인이 기여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적절한 관리 전략의 세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Q. 통증의 정의는 무엇인가요?국제 통증 연구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IASP)에 ..
2023.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