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28. 13:23ㆍ카테고리 없음
🪂 공수부대원의 훈련 중 무릎 부상 사례
이번 사례는 23세 남성 공수부대원이 훈련 중 착지 과정에서 발생한 급성 무릎 부상에 대한 물리치료사의 평가, 영상 진단 과정, 그리고 치료 결정을 다룹니다.
📌 부상 개요
이 군인은 훈련 중 낙하산에서 착지하는 과정에서 낙하산 장비에 오른쪽 다리가 엉켜버리는 사고를 겪었습니다. 이로 인해 착지 순간 무릎이 과신전(hyperextension)되었고, 외반력(valgus force)이 가해지면서 부상을 입었습니다.
🏥 1차 평가: 물리치료사의 현장 검사
📌 초기 평가
✅ 부상 직후 증상
- 심한 내측 무릎 통증
- 체중 부하 불가능
- 무릎 60도 이상 구부릴 수 없음
- 중등도의 부종 발생
이러한 증상으로 인해 골절 가능성이 의심되었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즉시 영상 검사를 시행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습니다.
📌 초기 처치
- 체중 부하 제한 및 목발 사용 지시
- 골절 여부 확인을 위해 X-ray 검사 의뢰
🩻 2차 평가: 영상 검사 및 특수 검사
📍 X-ray 검사 → 골절 소견 없음
- 뼈의 손상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통증과 기능 제한이 심각했기에 추가 정밀 검사 필요
📌 특수 검사 수행
✅ 중등도의 부종 발생
✅ 무릎 관절 가동범위 0 ~ 90도
✅ Lachman Test → 전방 십자인대(ACL) 손상 의심
✅ Valgus Stress Test (0° 및 30° 굴곡 상태) → 내측 측부 인대(MCL) 손상 의심
📍 MRI 검사 시행 → 연부조직 손상 평가
🩻 MRI 검사 결과
MRI 검사에서 다음과 같은 인대 손상이 확인되었습니다.
📌 전방 십자인대(ACL) 완전 파열
📌 내측 측부 인대(MCL) 고도 파열
🏗 치료 과정
MRI 결과를 토대로, 치료팀은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를 병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내측 측부 인대(MCL) 손상 → 비수술적 치료
- MCL은 보조기 착용 후 점진적 재활 운동을 통해 회복 유도
📍 전방 십자인대(ACL) 파열 → 재건 수술 진행
- ACL 재건술 후 단계별 재활 진행
🎥 결론
이 사례는 급성 무릎 부상의 영상 진단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손상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결정되는지 보여줍니다. X-ray와 MRI를 활용한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며, 손상의 정도에 따라 적절한 치료 접근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