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2. 2. 00:43ㆍ카테고리 없음
오늘은 한 가지 임상 사례를 공유하며, 여러분들과 함께 생각을 나누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우선 이 사례에는 정답은 없습니다. 각자의 임상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적합한 진단과 치료 계획에 대해 고민해 보세요.

Case study
General demographics
혼자 살고 있으며 오른손잡이인 55세 여성
History of current condition
7개월 전부터 오른쪽 어깨에 통증, 강직 및 약화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외상 이력은 없으며, 통증은 갑작스럽게 시작되었고 강도는 10점 만점에 8-10점으로 매우 심했습니다. 통증 발생 후 며칠 뒤, 오른쪽 전완과 엄지손가락에 약한 통증과 약화가 있었으나 현재는 이 증상들은 해결되었습니다. 약 2~3개월 후부터 어깨의 강직이 심해지면서 직무 수행에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고, 의료적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현재까지 두 번의 어깨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를 받았지만, 단기적인 효과만 있었습니다.
Previous history
5년 전, 업무와 관련 없는 오른쪽 어깨 부상을 입었으나 2개월간의 물리치료(ROM과 근력 강화 운동 포함)로 회복되었습니다. 물리치료 종료 후, 환자는 1개월간 운동을 지속했습니다.
Medical and surgical history
특이사항은 없으며, 2년 전 담낭 절제술(Gall bladder surgery)을 받았습니다.
Medication
현재 하루 800mg의 이부프로펜(ibuprofen), 고혈압 약물과 제2형 당뇨병 치료를 위한 메트포르민(metformin) 복용 중입니다.
Other tests and measures
None
Occupational employement and school
우편 수령 담당 직원으로, 우편물 패키지를 반복적으로 열고 들어 올리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Funcitonal status and activity level
아침 첫 한 시간 동안 통증이 발생하며, 하루가 진행되면서 통증이 증가합니다. 어깨를 제한된 움직임 방향으로 사용할 때, 물건을 들어 올릴 때, 팔을 뻗을 때, 브래지어를 착용할 때, 30분 동안 운전할 때 통증이 2-7/10까지 증가합니다.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1~2시간 후에 감소합니다. 통증은 밤에 두 번 수면을 방해하며, 특히 침대에서 몸을 뒤척일 때 문제가 발생합니다. 통증 때문에 오른쪽으로 누워 잘 수 없습니다. 약 3개월 전부터 주 3회 하던 유산소 운동과 상체 및 하체의 저항 운동을 중단했습니다.
Health status (Self-report)
환자는 제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경미한 심장 질환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고혈압(High blood pressure)을 앓고 있습니다.
여러분께 드리는 질문
1. 이 환자의 증상을 바탕으로 생각할 수 있는 두 가지 가능한 진단은 무엇인가요?
2. 그중 하나를 선택하여 예상되는 객관적인 평가 결과와 감별 진단에 대해 논의해 주세요.
3. 이 환자에게 어떤 치료 계획을 세울 것인지 제안해 주세요.